I 대형 증권사 ‘82학번’ 수장
I 매크로 및 금융시장의 변화
I 평균 나이 젊은데 전문성 높아
[TV리포트=한하율 기자] 지난해부터 시작된 증권가 최고경영자 교체가 지속되고 있다. 여의도를 주름잡았던, 이른바 ‘82학번 CEO’의 시대가 저물고 있다.
금융투자업계가 12일에 밝힌 바에 따르면 NH투자증권이 전날 정영채 사장이 이달 임기를 마치고, 윤병운 부사장을 차기 사장으로 내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영채 사장은 지난 2018년 취임해 6년 만에 CEO직에서 물러난다.
정영채 사장은 1964년생으로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82학번으로 1988년 대우증권에 입사한 뒤 우리투자증권을 거쳐 NH투자증권에서 일하며 경력을 쌓았다.
지난 4일 정영채 사장은 자신의 SNS에 이번 달 임기가 끝나면 용퇴하겠다고 뜻을 전했다. “이번 주주총회까지 역할을 하고 회사를 떠나기로 했다. 한동안 여러 이야기가 있었지만 이제 스스로를 정리할 적기라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NH투자증권의 이번 임원 교체는 회사가 한 단계 더 성장해야 할 시기라고 판단한 정영채 사장의 뜻이 내포된 것이다. 정영채 사장은 “새로운 색깔, 더 나은 문화, 조직으로”라고 말하며 다음 CEO 자리에 올라설 사람에 대해 기대감을 표하기도 했다.
KB증권의 박정림 사장도 지난해 말 사장직을 내려놨다. 증권가 최초 여성 최고경영자로 주목을 받아 연임할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됐으나 지난해 라임 펀드 사태가 터지면서 금융당국의 징계처분인 직무 정지를 받아 사장직을 내려놓게 된 것이다. 박정림 전 KB증권 사장 역시 서울대 경영학과 82학번 출신이다.
SK증권도 11년 동안 대표를 맡은 김신 최고경영자가 경영 일선에서 물러날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6일 SK증권은 임원후보추천위원회를 열러 대표이사 후보로 정준호 리스크관리본부장과 전우종 대표를 추천한다고 밝혔다.
김신 SK증권 최고경영자는 업계에서 ‘장수 CEO’라는 타이틀로 불렸는데 이 타이틀을 내려놓게 됐다. 김신 SK증권 사장 역시 서울대 경영학과 82학번 출신이다.
증권가 최고경영자 교체는 연임을 통한 안정보다 과감한 세대교체로 쇄신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증권가 최고경영자(CEO) 교체 시기가 되면서 이들 회사는 연임을 통한 안정보다 과감한 세대교체로 쇄신을 위한 선택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투자증권의 정일문 전 사장 역시 5년간 회사를 경영해 오다 지난해 말 인사 시즌 증권 부회장으로 자리를 옮긴 것으로 전해졌다. 정일문 전 사장은 단국대 경영학과 82학번 출신이다.
삼성 증권 대표직에서 물러난 장석훈 전 삼성증권 대표는 연세대 경제학과 82학번으로 지난해 말 삼성생명 자산운용 부문 사장에게 최고경영자직을 넘겼다. 허남권 전 신영자산운용 대표도 7년간 경영을 이끌어 왔지만, 최근 회사에 사임 의사를 밝혔다.
이 외에도 최병철 현대차증권 대표, 주원 흥국증권 대표, 홍원식 하이투자증권 대표, 김병영 BNK투자증권 대표 등이 최고경영자직을 내려놓는다.
이처럼 주요 증권사 10곳 중 7곳이 CEO 교체에 나섰다. 사업을 이어가는 안정성보다는 다양한 매크로 및 금융시장의 변화에 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리더십이 더 중요해졌다고 판단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현재 증권사는 국내 PF 시장 침체에 따른 딜 감소와 기존 사업장 관리 등 각종 리스크 문제에 직면해 있는 문제가 있다. 주식발행시장, 채권발행시장 등의 전통적인 IB 사업 영역의 경쟁이 격화하면서 새로운 CEO들의 행보가 기대된다.
새로 신임된 대표들이 불확실한 증권업황 속에서 사업다각화와 리스크 관리를 통한 효과적인 실적 회복이 가능하게 만들 것인지에 대해 업계의 관심이 주목된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부동산 PF 시장 침체 등 IB 영업 환경 악화를 타개할 만한 묘책이 필요한데, 신임 CEO들이 평균적으로 나이가 젊고 그에 반해 현장 경험이 풍부한 만큼 업계에서 그들에게 거는 기대가 크다”고 밝혔다.
한하율 기자 content_2@tvreport.co.kr / 사진=뉴스 1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