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 3주차 '본 어게인', '월화극 최하위' 늪에 빠졌다 [성적표]
[TV리포트=석재현 기자] 5개월 간 휴식 끝에 재개한 KBS 2TV 월화극의 첫 주자 '본 어게인'. 2020년 KBS 드라마 부진의 사슬을 끊기에는 부족해 보인다.지난달 20일 첫 방송 당시 '본 어게인' 1, 2회는 각각 3.7%, 4.1%(이하 닐슨코리아 전국)를 기록했다. 이는 당시 동시간대 경쟁작인 SBS '아무도 모른다'(10%), MBC '365: 운명을 거스르는 1년'(3.5%, 4.5%)에 밀린 수치였다.이후 '본 어게인'의 시청률은 조금씩 하락하기 시작했고, 현재 2~3%대를 오가고 있다. 그 결과 '아무도 모른다'의 후속작인 '굿캐스팅'(4회 시청률 11.1%)과의 격차는 약 4배로 벌어졌다.여기에 지난 5일 방영분이었던 11, 12회(2.4%, 2.9%)는 tvN 2부작 단막극인 '외출'(3.2%) 2회보다 낮게 나오며 체면을 구기고 있다. 아직 초반이긴 하나 '본 어게인'의 시청률 추이는 아쉽다. 시청자들을 끌어들이는 데 드라마가 가지고 있는 완성도가 부족한 점이 원인이었다.두 번의 생으로 얽힌 세 남녀의 운명을 그리는 내용인 만큼, 과거인 1980년대와 현 시점인 2020년을 오가며 1인 2역을 소화하고 있는 세 주인공 장기용, 진세연, 이수혁의 관계가 중요했다.'전생의 일이 현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설정을 표현하고자 주인공들의 환경을 전생과 비슷하게 조성했다. 그러나 세 인물들의 관계까지 설명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오로지 삼각관계로만 담아내는 데 그치고 있다.그리고 충분한 서사 없이 서로가 관심 가지고 경쟁하는 관계 변화 또한 납득하기 힘든 부분이 드러났다. 왜 이들이 서로를 인지하는지, 자신의 감정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촘촘함이 부족했다.또 최근 멜로 장르 드라마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다. 앞서 KBS에서 방영됐던 '포레스트'와 '어서와'를 포함해 tvN '반의반', 화제성이 높은 MBC '그 남자의 기억법'까지 낮은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다.석재현 기자 syrano63@tvreport.co.kr / 사진= UFO프로덕션, 몬스터유니온, '본 어게인' 방송화면 캡처, 그래픽= 계우주 기자
-
'자체 최고' NCT 127→'또 1위' 태연…SM, 잇따른 好성적 [성적표]
[TV리포트=김민지 기자] 자체 최고 기록을 경신한 그룹 NCT 127부터 또 한번 음원 차트 정상을 차지한 가수 태연까지, SM엔터테인먼트가 음반 및 음원에서 잇따라 호(好)성적을 내고 있다. 여기에 온라인 전용 유료 콘서트 '비욘드 라이브(Beyond LIVE)'를 론칭, 공연계까지 접수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자체 최고 기록, NCT 127NCT 127은 지난 3월 6일 발표한 정규 2집 '엔시티 #127 네오 존(NCT #127 Neo Zone)' 초동 판매량 약 27만 장(지난 3월 13일 한터차트 발표 결과)을 기록했다. 앞서 발매한 4번째 미니앨범 '엔시티 #127 위 아 슈퍼휴먼(NCT #127 WE ARE SUPERHUMAN)'의 초동 판매량 약 12만 장의 2배를 뛰어넘는 수치다. 정규 2집 타이틀곡 '영웅(英雄; Kick It)'은 발매 당일 음원 차트(이하 멜론 실시간 차트) 7위로 진입해 3위까지 올랐다. 수록곡 역시 전곡 100위 안에 진입하며 NCT 127의 성장을 여실히 보여줬다. 오는 19일 선보이는 정규 2집 리패키지 '엔시티 #127 네오 존: 더 파이널 라운드(NCT #127 Neo Zone: The Final Round)'로 다시 한번 자체 최고 기록 경신을 노릴 전망이다.# 8년 만 첫 솔로 통했다, 엑소 수호솔로 출격한 엑소의 수호도 눈에 띄는 성과를 냈다. 지난 3월 30일 공개된 수호의 첫 솔로 앨범 '자화상 (Self-Portrait)' 타이틀곡 '사랑, 하자 (Let’s Love)'는 이날 차트 3위로 진입해 다음날 자정 1위를 차지했다. NCT 127과 마찬가지로 수록곡 전부가 100위 안에 랭크됐다. 수호가 데뷔 8년 만에 처음 선보인 솔로 앨범이 리스너들에게 제대로 통한 셈이다. 뿐만 아니라 앞서 솔로 앨범을 선보였던 엑소 멤버 백현과 첸을 이어 좋은 성과를 내며 여전히 뜨거운 인기를 입증하는 계기가 됐다.# 놀라운 성장세, NCT DREAMNCT DREAM은 올해 상반기 컴백한 아이돌 그룹들 중 가장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였다. 지난달 27일부터 지난 3일까지 한터차트 집계 결과에 따르면, NCT DREAM이 지난달 29일 발매한 '리로드(Reload)'는 초동 판매량 약 41만 장을 기록했다. 초동 판매량 약 18만 장이었던 3번째 미니앨범 '위 붐(We Boom)' 이후 9개월 만에 이룬 성과다. 음반뿐만 아니라 음원 성적 역시 자체 최고 성적이다. '리로드' 타이틀곡 '라이딩(Ridin’)'은 음원 공개 당일 차트 4위로 진입, 이후 1위로 올라섰다. 수록곡 4개도 10위 안에 들며 '리로드' 전곡이 상위권에 들어서는 쾌거를 이뤘다.# 진정한 음원 강자의 저력, 태연지난 4일 디지털 싱글 '해피(Happy)'를 공개한 소녀시대의 태연은 이번에도 음원 차트 1위를 휩쓸었다. 이날 차트 3위로 진입한 '해피'는 발매 2시간 만에 1위에 올랐다. 아울러 지난 4일 일간 차트 2위를 기록했으며 현재도 여전히 최상위권이다. 이로써 태연은 음원 강자 타이틀을 다시 한번 확고히 하게 됐다.# 글로벌 관심 쏟아지는 '비욘드 라이브'이 밖에도 SM엔터테인먼트가 올해 이룰 성과 중 가장 주목받는 건 '비욘드 라이브'다. '비욘드 라이브'는 SM엔터테인먼트의 콘텐츠 제작 능력과 네이버의 글로벌 플랫폼 운영 경험 및 기술력을 더한 영상 콘텐츠. 단순히 오프라인 공연을 온라인 중계하는 것이 아닌, 아티스트와 팬들의 인터랙티브 소통과 AR 영상 기법 등 다채로운 기술을 적용해 온라인에 최적화된 형태의 공연이다. 앞서 SuperM과 WayV가 각각 첫 번째, 두 번째 주자로 나서며 글로벌 팬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SuperM의 '슈퍼엠 - 비욘드 더 퓨처(SuperM - Beyond the Future)'는 전 세계 109개국, 약 7만 5천 명의 유료 시청자들이 관람했고 네이버 V LIVE 하트 수는 1억 2천여 개에 달했다. WayV의 '웨이션브이 - 비욘드 더 비전(WayV - Beyond the Vision)' 역시 V LIVE 하트수 2억 3천만 개를 돌파했다. SuperM의 공연 당시 다소 불안정했던 화상연결 시스템이 WayV의 공연에선 끊김 없이 진행되고, 응원봉 싱크플레이 서비스를 최초 공개하는 등 회차를 거듭할수록 기술적인 부분이 발전하고 있는 상황. 각각 오는 10일과 17일 개최되는 NCT DREAM과 NCT 127의 '비욘드 라이브'는 어떤 색다른 포인트를 담아낼지 기대가 쏠린다.김민지 기자 kimyous16@tvreport.co.kr / 사진=SM엔터테인먼트
-
-
-
-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 "'코로나19' 피해액 633억원, 지원 정책 요청" [전문]
[TV리포트=홍지수 인턴기자]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가 '코로나바이러스 감영증-19'(이하 '코로나19')로 피해를 호소하며 정부의 지원을 요청했다.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는 6일 긴급성명서를 내고 "중소 음악 레이블이 코로나19 사태로 대중음악 관련 행사가 잇달아 연기 및 취소돼 직견탄을 맞았다"고 밝혔다. 이어 "중소 음악 레이블 경우 운영 규모가 작고 현금 유동성이 부족해 대형 기획사보다 체감하는 타격이 훨씬 크고 손해액을 메우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했다.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에 따르면 협회 회원사인 44개 중소 레이블 및 유통사가 올해 2월부터 4월까지 열기로 했던 행사 가운데 73개가 연기 또는 취소됐다. 손해액만 약 62억 7천만 원에 이른다.또한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는 "대중음악 전체로 범위를 넓히면 전국적으로 211개 공연이 연기·취소돼 손해액만 약 633억2천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는 '대처방안에 대한 매뉴얼 구성', '고용 유지 및 창출 관련 지원 정책', '대관료와 임대료 등 공간 지원', '콘텐츠 제작 위주의 지원 정책', '위기상황 대비 펀드 구성' 등을 요청했다. ■ 이하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 코로나19 관련 긴급성명서 전문코로나19의 급격한 확산으로 대중음악 관련 행사가 잇달아 연기·취소되면서 중소 음악 레이블은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중소 레이블은 운영 규모가 작고 현금 유동성이 부족해 대형 기획사보다 체감하는 타격이 훨씬 크고 앞으로도 손해액을 메꾸기가 어려운 실정입니다. 이는 다양한 작품으로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던 콘텐츠 제작 자체가 줄어드는 우려스러운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습니다.지난 1일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협회 회원사인 44개 중소 레이블 및 유통사가 올해 2월부터 4월까지 열기로 했던 행사 중 73개가 연기 또는 취소돼 손해액만 약 62억 7천만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인디 뮤지션이 많이 활동하는 홍대 근처 소규모 공연장 공연에 대해 별도로 집계한 결과, 2월부터 4월 사이 공연 117개가 연기·취소돼 약 9억 5천만 원의 손해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고, 대중음악 전체로 범위를 넓히면 전국적으로 211개 공연이 연기·취소되어 손해액만 약 633억 2천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협회가 공개한 손해액은 전체 티켓 중 80%가 판매됐다고 가정한 뒤, 관람 인원에 티켓 가격을 곱해 나온 값이며, 공연장 대관과 무대 장비 업체 등에 지불한 각종 계약금 및 환불 수수료 등의 금액까지 더하면 피해 규모는 더 커지는 상황입니다.1. 위급상황시 대처방안에 대한 매뉴얼 구성을 요청합니다.공연 진행 가능 여부, 공연장 대관료 및 아티스트 출연료 환불 규정, 소비자 환불 규정, 방역지침 등에 대한 매뉴얼이 없다 보니 각 기관에 문의했음에도 아무런 대책을 마련해주지 않아 피해가 가중되었습니다. 또한, 일정 규모 이상의 공연 진행을 위해 재해대책신고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기관에서는 매뉴얼이 없다는 이유로 이를 차일피일 미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현업 전문인력으로 분과별 TF를 구성해 문제 발생시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합니다.2. 고용 유지 및 창출에 필요한 다각도의 지원 정책을 요청합니다.프리랜서로 활동 중인 스태프들은 현재 수입이 중단된 상태며, 언제 정상업무가 가능할지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안정된 고용이 창출되도록 근로자와 업체에 지원 정책이 필요합니다. 코로나19로 어려운 상황에도 인원 감축이나 급여 삭감 없이 운영 중인 업체 및 바뀐 제작 환경에 필요한 신규 고용 인력 창출을 위한 적극적인 고용 지원 정책을 촉구합니다.3. 대관료와 임대료 등 공간 지원을 요청합니다.현재 진행 중인 정책은 임대인이 할인을 해주면 그중 일부 임대료를 정부에서 지원하는 형태인데, 이는 상대적 약자인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요구할 수 없는 부분이어서 임차인 기준의 지원 정책이 필요합니다. 또한 취소된 대관 및 등록 공연장에 대한 지원 등으로 한정된 공연장 지원 사업을 확대하여, 다양한 공간에서 실험적인 공연이 제작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4. 콘텐츠 제작 위주의 지원 정책을 요청합니다.현재 공연장뿐 아니라 뮤지션, 제작/기획사 및 시스템 업체들은 수개월째 수익이 없는 상황입니다. 이에 맞춰 새로운 공연을 기획하여 공연장과 외부 시스템 업체가 협업 및 제작하면 제작비를 지원해주는 형태의 지원 정책이 필요합니다.뮤지션은 수입이 없어져 새로운 창작물을 제작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현재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진행하는 지원 사업은 제작 부문은 모두 사라지고, 홍보에 집중된 사업만 존재합니다. 제작이 있어야 콘텐츠가 만들어지고, 콘텐츠가 존재해야 홍보도 필요한 것입니다. 제작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앨범 제작 지원을 기본으로, 코로나19로 바뀐 제작 환경에 대한 조사와 연구 지원, 랜선 라이브 등 이번 사태를 돌파할 수 있는 새로운 콘텐츠 제작 지원이 필요합니다. 뮤지션, 연주자, 녹음실, 중소제작사 등 함께 지원이 가능한 정책을 마련해야 합니다.5. 위기상황 대비 펀드 구성을 요청합니다.추가로 언제 발생할지 모를 위기 상황에 대비해 펀드를 구성할 필요도 있습니다. 운영과 고용을 위한 전문 펀드를 마련하여, 업계 전문가가 심사하는 현실적인 저금리 장기 대출 운영이 필요합니다.※ 코로나 19로 인한 대중음악 공연 취소 현황조사 기간: 2020년 2월 1일~2020년 4월 30일조사 대상:1. 홍대 인근 공연장2. 협회원사3. 전국(공연 티켓 판매처에 오픈 후 취소된 공연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피해액은 객석 점유율 80%로 추산)총 피해 규모:1. 홍대 인근 공연은 117건, 9억 5천만원2. 협회원사 공연은 73개, 62억 7천만원3. 전국 공연은 211개, 633억 2천만원홍지수 인턴기자 jsfire120@tvreport.co.kr / 사진=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 제공
-
-
방탄소년단, 오바마 前대통령과 유튜브 가상 졸업식 축사 [공식]
[TV리포트=유지희 기자] 그룹 방탄소년단이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과 함께 유튜브가 개최하는 온라인 가상 졸업식에 참여한다. 6일 소속사 빅히트엔터테인먼트에 따르면 방탄소년단은 오는 6월 6일(미국시간) 유튜브 오리지널을 통해 온라인으로 펼쳐지는 'Dear Class of 2020'에 참여한다. 유튜브는 올해 졸업하는 전 세계의 대학생과 고등학생, 그리고 그들의 가족을 축하하기 위해 이번 가상 졸업식을 기획했다. 유튜브가 졸업식 관련 이벤트를 진행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Dear Class of 2020'에는 방탄소년단을 비롯해 버락 오바마(Barack Obama) 전 미국 대통령과 미셸 오바마(Michelle Obama), 구글 CEO 순다르 피차이(Sundar Pichai), 가수 레이디 가가(Lady Gaga), 시민운동가 말랄라 유사프자이(Malala Yousafzai), 로버트 게이츠(Robert Gates) 전 미국 국방장관, 콘돌리자 라이스(Condoleezza Rice) 전 미국 국무부 장관 등이 출연한다. K팝 아티스트로는 방탄소년단이 유일하게 초청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방탄소년단은 'Dear Class of 2020'에서 오바마 전 대통령, 순다르 피차이, 레이디 가가 등과 더불어 특별 연설자로 나선다. 또한 여러 아티스트들과 가상의 졸업식 애프터 파티에서 퍼포먼스도 펼칠 예정이다. 이외에도 'Dear Class of 2020'에는 가수 앨리샤 키스(Alicia Keys), 가수 켈리 롤랜드(Kelly Rowland), 배우 케리 워싱턴(Kerry Washington), 가수 클로이 앤 할리(Chloe x Halle), 가수 젠데이아(Zendaya) 등이 출연한다.유지희 기자 yjh@tvreport.co.kr / 사진=TV리포트 DB, 유튜브
-
-
'학폭논란' 김유진 PD, 극단적 선택→회복중…가족 "악플 법적 대응" [종합]
[TV리포트=석재현 기자] 학교폭력 논란에 휩싸인 뒤 극단적 선택을 시도해 입원 중인 이원일 셰프의 약혼자 김유진 PD가 정상으로 돌아왔다. 이와 함께 김유진 PD의 가족은 악성댓글에 법적 대응하기로 결정했다.4일 김 PD의 가족 측은 TV리포트에 "현재 응급실에서 일반 병실로 옮겼다. 호흡은 정상이나 아직 의식이 없다. 경과를 지켜보는 중"이라고 밝혔다.이와 함께 김유진 PD의 언니는 개인 SNS를 통해 "과장된 허위사실 유포로 인한 거짓 내용과 도 넘은 비판에 진실을 밝히려고 한다"며 "제 동생을 향한 무분별한 허위사실 유포, 명예훼손 행위가 더이상 묵과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고 판단해 김유진 PD를 보호하기 위해 민, 형사 법적 대응을 진행하려고 한다"고 남겼다.이어 "혼자만 감당하고 참으면 되겠지 하고 스스로의 상처를 애써 간과하고 넘겨왔지만 허위사실 유포와 악설 댓글에 시달렸고 심지어는 피해제보자가 시켰다고 주장하는 그의 국내에 있는 지인으로부터 4월 30일 협박성 메시지와 계속해서 걸려오는 전화 40회(5월 3일 기준)가 걸려왔다"고 주장했다.또 김 PD의 언니는 "저희 가족은 묵과하고 참음으로 해서 결과적으로는 동생과 가족, 그리고 동생과 연결된 모든 사람들에게 엄청난 해악을 준다는 사실을 깨달았다"며 "익명성에 편승해 악의적인 의도와 비방 목적으로 허위사실을 거듭 유포하고 인신공격을 하여 동생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일을 방치하는 것이 올지 않다고 판단했다"며 허위사실 게재, 모욕, 명예훼손 등 악의적인 비방 행위에 법적 대응을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끝으로 "이 모든 행위에 대해서는 합의나 선처는 절대 없음을 강력히 말씀드린다"고 강조함과 동시에 김유진 PD를 협박했던 문자 메시지를 공개했다.앞서 김유진 PD는 자택에서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한 후 가족들에게 발견돼 대학 병원으로 이송됐다. 김 PD는 개인 SNS에 학교폭력 논란과 관련해 억울함을 표현하면서 "나는 이제 곧 이 세상에 더는 존재하지 않는 사람이 될 것 같다. 그 전에 못다 한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억울함을 풀어 이원일 셰프, 그리고 우리 두 사람의 가족들에게 더 이상의 피해가 가지 않길 바라는 것뿐이다. 내가 모든 것을 안고 가겠다"고 남겼다.최근 김 PD는 이원일 셰프와 오는 8월29일 결혼식을 앞두고 있었다. 그러나 뉴질랜드 유학 시절 친구들과 동창생을 집단 폭행한 의혹을 받아왔고, 이에 이원일과 김유진 PD는 "앞으로 평생 상처를 준 분들을 찾아뵙고 사죄를 구하겠다"고 자필 사과문을 올리며 출연 중이었던 MBC '부러우면 지는거다'에서 자진하차했다.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으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면 자살예방상담전화 1393,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 전화해 24시간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석재현 기자 syrano63@tvreport.co.kr / 사진= MBC, 김유진 PD 언니 인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