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리포트=김수정 기자] “소설보다 한발 더 나아간 영화..희망 주고 싶었어요.”
14일 오후 서울 광진구 자양동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에서 영화 ’82년생 김지영’ 언론시사회가 열렸다.
’82년생 김지영’은 1982년 태어나 누군가의 딸이자 아내, 동료이자 엄마로 오늘을 살아가는 지영(정유미 분)의 얘길 그린 영화다.
누적 판매수 100만 부를 돌파한 동명의 베스트셀러를 원작으로 한다. 원작이 내용의 본질과 달리, 의도치 않은 첨예한 젠더 갈등을 불러일으킨 만큼 영화화에도 여러 부침이 있었던 바.
이날 정유미는 “출연에 용기낸 이유”를 묻자 “진짜 용기를 내야하는 일은 따로 있다고 생각한다. 시나리오 읽고 나누고 싶은 얘기를 만드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다”고 답했다.
공유는 “시나리오를 읽고 우선적으로 든 생각은 가족이었다. 시나리오를 읽고 내가 위안을 받았다”라고 출연 계기를 밝혔다.
이어 그는 논란에 대해 “크게 생각하지 않았다. 제작 과정이 힘들다고 느끼지 않았다. 영화가 잘 만들어졌고, 각자 관점에 따라 이 영화를 어떻게 느낄지 기대된다”고 털어놨다.
영화는 원작 소설과 닮은 듯 다르다. 소설보다 밝다. 가장 크게 다른 점은 엔딩이다. 다소 냉소적이었던 소설의 엔딩과 달리, 영화의 엔딩은 희망적이다.
김도영 감독은 “2019년을 살아가고 있는 김지영에게 괜찮다, 더 좋아질 거야라는 희망의 메시지를 주고 싶었다. 지영의 어머니보다는 지영이가, 지영이보다는 지영이의 딸이 더 나은 세상에서 살아가길 바라는 마음으로 엔딩을 그렸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 감독은 “제 첫 관객인 조남주 작가님께서 소설보다 한발 더 나아간 얘기란 과찬을 해줘서 기뻤다”라고 원작자의 반응을 전했다.
감독은 각색 과정에서 주안점을 둔 부분에 대해서 “사회적 의제들, 원작이 얘기하고 있는 것을 집요하게 다루고자 했다. 자신의 말을 잃어버린 여자가 결국 자신의 말을 찾는 얘기”라고 강조했다.
영화는 지영을 피해자, 주변인을 가해자로 그린 것이 아닌, 이들을 둘러싼 사회 구조의 문제에 주목한다.
김 감독은 “한 개인의 캐릭터로 인해 누군가가 상처받는 것보다, 그 사람을 담고 있는 구조, 시스템, 문화, 관습 때문인 경우가 많다. 그것이 원작이 말하는 의도”라고 힘줘 말했다.
’82년생 김지영’은 10월 23일 개봉한다.
김수정 기자 swandive@tvreport.co.kr /사진=최지연 기자 choijiye@tvreport.co.kr
댓글0